[이블린 언더힐 - 하느님, 사람] 가일즈 수사가 말했듯 하느님께서는 우리 삶의 모든 해심 요소를 품고 있는, 곡식이 넘치는 거대한 산과 같습니다. 참새가 곡식을 쪼아 먹듯, 우리는 산의 주인에게 감사하며 경건한 마음으로 조심스럽게 곡식을 거두어 먹습니다. - 이블린 언더힐(Evelyn Underhill) G.P. 멜릭 벨쇼우(편저), 「이블린 언더힐과 함께 하는 사순절 묵상」(서울;비아, 2014년), p.34 다이어리/기억할 문장 2023.04.25
[헤르만 바빙크 - 삼위일체] 2018. 2. 5. 7:12 삼위일체의 고백의 영광은 무엇보다도 절대적인 단일성이 다수성을 배척하지 않고 오히려 포함한다는 사실에 있다. 헤르만 바빙크, 다이어리/기억할 문장 2023.04.24
[아리스토텔레스 - 친구와 바람직함] 2018. 1. 29. 17:20 친구들이 곁에 있다는 것은 어떤 경우에도 바람직한 것 같다. - 아리스토텔레스Ἀριστοτέλης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도서출판 숲, 2013년), p.374 다이어리/기억할 문장 2023.04.24
[황보름 - 인생과 이야기] 2018. 1. 15. 10:4 인생은 내가 있는 장소가 아니라 내가 그 장소에 쓰는 이야기에 따라 달라진다 - 황보름 「매일 읽겠습니다」(황보름. 어떤책. 2017년), p.33 다이어리/기억할 문장 2023.04.23
[몽테스키외 - 슬픔과 독서] 2018. 1. 15. 10:46 나는 한 시간의 독서로 누그러들지 않는 어떤 슬픔도 알지 못한다. - 몽테스키외 - 「매일 읽겠습니다.」(황보름, 어떤책, 2017) p.28에서 재인용 다이어리/기억할 문장 2023.04.23
[수능특강 light - 부탁을 생각하는 다른 방법] 2017. 12. 11. 21:58 Rather than thinking of a favor as a bid to get something for nothing, think of it as your chance to provide others with an opportunity - an opportunity to help you. 부탁을 아무 대가 없이 무언가를 얻으려는 몸부림으로 생각하기 보다, 당신을 도울 기회를 누군가에게 쥤다고 생각하렴. - 수능특강 light 2017년, p 138 다이어리/기억할 문장 2023.04.21
[웨스트민스터 총회 - 성화, 최선] 78문. 왜 신자들은 성화를 완전히 이룰 수 없습니까? 답. 신자들이 성화를 완전히 이룰 수 없는 것은 그들의 모든 부분에 남아 있는 죄의 잔재들과 성령을 끊임없이 거스르는 육신의 정욕 때문입니다. 이로 말미암아 그들은 자주 유혹에 빠저 넘어지고, 많은 죄에 빠지며, 그들이 하고자 하는 모든 영적인 섬김을 못하게 됩니다. 그리고 신자들이 행하는 최선의 일들도 하나님 보시기에는 불완전하고 더럽습니다. - 웨스트민스터 총회 웨스트민스터 총회, 『웨스트민스터 대교리문답 노트』(수원: 그책의사람들, 2017), p.116 아, 강조는 제가 했습니다. 다이어리/기억할 문장 2023.04.20
[코르넬리스 프롱크 - 아버지] 2017. 11. 18. 10:16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부르는 사람은 하나님께 대한 깊은 경외감을 드러내야 합니다. - 코르넬리스 프롱크(Cornelis Neil Pronk) 코르넬리스 프롱크, 『하이델베르크로 보는 사도신경 십계명 주기도문』(수원 : 그 책의 사람들, 2017), pp.366~367 다이어리/기억할 문장 2023.04.20
[팀 켈러 - 동성애와 죄] 2017. 11. 16. 19:21 동성애자가 된다고 지옥에 가는 게 아닙니다. 죄가 사람을 그런 식으로는 지옥에 보내지 않아요. 죄 중에서 가장 근본적인 죄는, '내가 내 자신의 구원자이자 주인이라고 생각하는 마음'입니다. - 팀 켈러(Timothy Keller) http://www.youtube.com/watch?v=T-kHTUkwEzE 다이어리/기억할 문장 2023.04.20
[우석훈 - 도서관과 경제] 2017. 11. 16. 17:22 도서관이 곧 국가경쟁력이고, 그 나라의 도서관 수준이 경제의 수준을 결정한다고 보아도 틀리지 않을 것이다. - 우석훈 우석훈, 『문화로 먹고살기』(서울 : 반비, 2011년), p.200 다이어리/기억할 문장 2023.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