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92

[성서 읽기 교본]

2017. 8. 14. 1:10 1. 성경이 무엇을 말하느냐 저자 : 길성남 / 출판사 : 성서유니온선교회 / 488쪽 / 20,000원 / 별 5개(만점) - 성경 독법과 관련해서 가장 한국 정서에 잘 맞지 않을까 싶어요. 고든 피와 더글라스 스튜어트께서 쓰신 책도 읽어 봤는데, 이 책을 먼저 읽는 것이 더 나을듯 해요. 성서 권별로 성격을 나타내기 보다는, 성서를 읽는데 필수적인 기본을 7가지로 나누어 가르쳐 주는 책이에요. 진짜 탁월합니다. - 출판사가 그렇듯이 보수적인 신칼뱅주의입니다. 중간에 예시로 들어놓은 성구 왜곡과 진짜 의미에 공감하지 못할 수도 있어요. 하지만, 예시를 제외한다면 누구나 읽어봐야 하겠다고 생각해요. - 조금 어렵다고 느낄 수도 있어요. 한 호흡이 길고, 중간중간에 언급하는..

[내가 성경(성서) 공부하는 방법]

2017. 8. 14. 0:06 1. 하고자 하는 본문을 최선을 다해서 천천히 음미하면서 세 번 정도 읽는다. 1.1. 성경 한 권이라면, 형식에 따라 다르게 한 권 전체를 세 번 정도 정독한다. 1.2. 앞뒤 문맥이나 배경을 우선 살피고 나서 기억하고 한다. 2. 다음은 주제별로 단락을 나눈다. 주석이 있다면 나눠져 있어서 수월하고, 소제목이 달려 있으면 주제 변화를 보기가 더 쉬워져서 좋다. 2.1. 잘 하지는 않는데, 나눈 단락 간의 연계성을 살펴서 전체 메시지를 파악한다. 2.2. 한 번에 다 하기 어려우니깐 하고 싶은 단락을 선택한다. 3. 단락을 택했으면 "본래 독자"에게 전해져야 했던 본래 의미를 생각한다. 3.1. 본래 의미를 찾되 너무 인간 중심으로 찾지 않고, '하나님의 성품'과 '하나..

[다시 복음으로]

2017. 8. 12. 10:04 다시 복음으로 저자 : 박영철 / 출판사 : 규장 / 별 4.7개 / 신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복음을 믿으면서 구원의 확신을 가지고 있으나, 삶에서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이유를 고민하면서 복음 '메시지'에 구멍이 났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그리고 복음의 5가지 핵심 요소, 곧 '죄-십자가-부활-회개-영접'에서 어떤 점이 문제인지 구멍을 기운다. 기독교(개신교, 가톨릭은 잘 모르겠다)에서는 전도를 굉장히 강조한다. 아직도 많은 사람이 죄에 빠져서 죽음을 향해 빨리 달려가고 있다고 하면서 말이다. 전도 훈련을 시킨다고 하면 사영리가 기본이다. 조금 더 나아간다고 해도, 길어도 10분 안에 끝나는 짧고 가벼운 복음에 지나치지 않는다. 설교 강단에서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하심을 언..

리뷰/책 등 2023.04.07

[죄인 - 미워하는 사람]

정말 나는 어쩔 수 없는 죄인인갑다. 싫은 사람 유형이 아직 까지도 존재한다. 내가 받은 사랑시 얼마나 미친 사랑인데, 사랑이 원하는 대로 살지 못한다. 이런 배은망덕하고 죽일 놈이 또 있을까. 영적으로 성숙하고 이 글을 볼 때, 좀 달라졌기를 바라면서 유형을 올린다. 1. 집중 깨는 사람 2. 내가 조용하고 싶을 때 떠드는 사람 3. 나를 잘 알지도 못하면서 아는척 떠드는 사람 etc. 하나님, 받은 사랑 만큼, 닮고 싶음보다 더, 모두를 이웃으로서 사랑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함께 해주세요. 예수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엄기호 - 공동체성]

2017. 8. 9. 22:30 차이가 적대로 변하는 게 아니라 차이를 이견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때, 그럴 때 이 공동체가 다른 가능성에 대해서 염두에 두고서 갈 수 있다 ... 동질성을 강조하는 쪽으로 가면 안 되는 거 코뮤니타스의 가장 중요한 거예요. - 엄기호 [청어람 아카데미 청년사역 컨퍼러스 주제 발안 : 청년(세대)와 한국(사회)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中]

[교육, 피폐, 개혁]

2017. 8. 9. 21:35 매일마다 보면서, 붙어 있는 유리창까지 때려 부수고 싶을 정도로 역겹고 미칠듯 하고 의분이 치밀어 오르는 포스터가 있다. 내용은 이렇다 : 1. 고 1,2 내신 잘 받고 좋은 대학 간다! 2. 영어는 일찍 끝내고 고3 때 다른 과목해야 좋은 대학 간다! 3. 좋은 정보 - 스카이, 의치 - 로 준비해야 좋은 대학 간다! 대체 이게 무슨 개지랄이란 말인가. 대체 배우는 즐거움이란 무엇인가? 대체 대학이 무엇인가? 대체 교육이 무엇인가? 대체 왜 공부하는가? 위 질문에 답하는 내용과 방식이 다르고 다르고 또 다르다. 필자는 더 높은 차원을 보기 원함, 쾌락을 위해서 배운다. 대부분의 학생은 대학 진학, 빌어 먹고 살기 위해 라는 대답이 나오지 않을까. 우리 나라서 '배움'은 ..